본문 바로가기
웹(Web)/웹리뷰

새로운 친구 '제미나이, bard'가 작성해준 : '챗gpt (Chat GPT)'를 넘어 새로운 인공지능 AI 시대

by 앱또웹 2023. 12. 30.
728x90
반응형

바드에게 물어 봤습니다.

Hey, Bard?
넌 Chat GPT를 어떻게 생각하니?

 

그렇게 질문하니 바드는 잠시 생각하는지

빛이나는 별을 반짝이며 이렇게 대답하더군요.

바드가 생각하는 챗gpt의 장점과 단점

자세히 내용을 살펴보니

이 친구는 간단한 연혁과 AI에 대한

간략한 특징과 장단점 등을 나열했을뿐

크게 특별하지도 새로운 내용을 나열하지도 않았습니다.


[목차]

  1. 챗gpt의 father
  2. 챗gpt 활용법
  3. 그 외의 Chat AI

1. 챗gpt의 father

'샘 알트만' 을 아시나요?

I am your father

위 밈 처럼 father(아빠)라면

이야기는 쉽게 추론 되겠지만,

사실상 생각하시는 것 처럼

아빠보다는 삼촌 ... ?

I am your uncle


이 말인 즉슨 직접 개발한

프론트개발자, 백앤드개발자, 풀스택개발자 등등

개발에 직접 뛰어든 개발자가 아닌

총괄 CEO 라는 사실!!!

게다가 SEO '샘 알트만' 뿐만 아닌

모두가 잘 아는 '일론 머스크' 또한 챗gpt의 사...삼촌??

(역시 삼촌들이 선물을 잘 사준다죠... 후훗 *-_-*)

정확히는 2015년 10월에 공동의장인

'샘 알트만' 과 '일론 머스크'를 포함하여 각종 투자처들이 공개

두둥!!

(그 외 투자처 : 링크드인 공동 설립자, 페이팔 공동 설립자, 스트라이프 최고기술자, 와이콤비네이터 설립파트너, 아마존 웹 서비스, 인포시스 등)

Hello! ChatGPT!!

이렇게 AI 연구와 개발을 계속 진행 하던 중

우리 모두가 익숙해진 'Open AI' 가 등장하고

그 뒤를 이어 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의 현재에 있는 'Chat GPT' 시대가 도래하죠

처음엔 그저 심심이 확장판 인 줄로만 알았는데 ....

그렇게 각종 기업들의 '인공지능 AI' 시대는 막을 열게 됩니다.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MS)의 Bing(빙)

Google(구글)의 Bard(바드)

Meta(메타)의 Llama2(라마2)

Apple(애플)의 개발중이나 Human Gaussian Splats(휴먼 가우시안 스플랫, HUGS)의 논문에 의한 아카이브로 추론 중

등등 위의 사례들과 'Open AI의 API' 활용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인공지능들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본인의 입맛에 맞는 서비스를 찾아 사용하는 재미도 쏠쏠)

대해적시대...아니아니 대AI시대

2. 챗gpt 활용법

저는 비전공생이지만

최근 사이버 대학으로 코딩을 공부하면서

챗gpt를 자주 활용하게 되었는데요.

그 사례는 코드작성, 코드리뷰, 코드 수정 제안 용도로 사용하였습니다.

(아직 경험치가 적다보니 개인적으로는 동료이자 비서가 생긴것 같아서 좋은 타이밍이 였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성장을 동반한 활용이 아닌

누군가를 공격하는 사례들도 있는데요.

이는 벌써 다크웹에서 공개된 건들이 상당 수 존재 합니다.

그 중에는 이미 밝혀진 걸로 최소 3건 이상인 '멀웨어' 생성을

'Chat GPT'를 활용하여 제작 난이도를 낮춰서 접근한 사례들도 있고

허위정보를 습득하여 그럴듯한 사건인것 마냥 대답을 하는 '챗gpt'도 있습니다.

(세종대왕 맥북 던짐 사건, 허위 맛집 정보, 허위 논문 발표 등)

위 내용에서 처럼 어떤 기술력을 어떻게 어디에 사용하는가에

대한 문제점은 인공지능에만 적용 되는 것이 아닙니다.

한국의 고액 연봉 개발자가 자신의 역량 이외의 업무를 의뢰 받고

업무시간이 아닌 그 외 시간에 외국인에게 낮은 금액으로

개발을 의뢰하여 처리하는 등의 이슈들은

IT 업계에 심심찮게 발생하는 문제 입니다.

작년 2.7% 인공지능 AI 사용률이

1년만에 28%로 약 10배가 증가한 현재 인공지능 AI 붐은 과연 어디 까지 일까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조사한 바로는

대기업들도 36.4%로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것으로 보입니다.

12월 29일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산업 AI 얼라이언스'를 발표하였습니다.

(현대자동차, LG전자, 현대제철,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S, SK C&C)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Mobility AI(자율 생산 지능화)
  • Machinery AI(최적제어, 고장진단)
  • Optimization AI(공정, 물류 최적화)

이를 통한 기업들의 문제를 인공지능 AI로 해결하여

개발자라는 포괄적인 직군이 아닌

이젠 '인공지능 AI 전문가' 라는 직업군이 새로 생겨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JetBrains(이하 젯브레인)은 '2023년 개발자 생태계 현황' 이라는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그 중 눈에 띄는 리포트는 인공지능 AI 분야가 새롭게 추가 되었다는 점 입니다.

전 세계 196개국의 2만6천348명 개발자가 설문조사한 결과로

현재 77% 개발자가 챗GPT를 사용 중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참고 뉴스 출처 : https://zdnet.co.kr/view/?no=20231204101915)

 

3. 그 외 Chat AI

저는 처음 'Chat GPT'를 사용해보고는 신기함과 의외성

그리고 상당히 높다고 생각하는 기술력에 매료되어 그 동안 '챗GPT'를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요즘 다양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생겨나는 단점들에 점점 지쳐가고 있었습니다.

구글은 기존 생성형 AI로 바드를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챗gpt'가 워낙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각종 비교 등을 당하여서

큰 차별점이 없었던 터라 외면 받기 일쑤였는지

요즘엔 바드가 '제미나이'로 새로운 도약을 하기 위해

기업들은 다양한 인공지능 AI 개발에 힘쓰고 있다.

그래서 이번 '제미나이'를 시작으로 이제 '챗gpt'만 사용하는게 아닌

다른 인공지능 AI를 활용해볼 생각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로 'Chat GPT'를 주로 다루었지만,

다양한 친구들을 사용해보며 특이점들을 한번 찾아볼까 합니다.

그냥 가면 서운할것 같아서

우리의 '제미나이, 바드' 에게 포스팅 제목을 부탁했답니다!

그럼 진짜 이만!

728x90
반응형